비뇨기계 기관이란 소변을 만들고 저장하고 배설시키는 기관으로 콩팥, 요관, 방광, 요도가 이에 해당됩니다. 배뇨장애란 소변을 배출하는 과정인 배뇨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이상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말입니다.
종류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1. 저장 증상
1빈뇨 비뇨기계 증상 중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배뇨 횟수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보통 성인은 깨어 있는 동안 4~6회, 자는 동안 0~1회 배뇨하는 것이 정상입니다. 1회 배뇨량은 약 300cc 정도입니다. 예전에는 24시간 동안 8회 이상의 소변을 보는 경우를 빈뇨라고 정의하였으나, 2002년 국제요실금학회에서는 환자 자신이 소변을 너무 자주 본다고 느끼는 경우를 빈뇨라고 정의하였습니다.
2야간뇨 야간뇨란 밤에 자다가 일어나서 소변을 보는 것으로, 야간의 소변량(요량)이 일일 배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야간 다뇨 및 그렇지 않은 야간 빈뇨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야간 빈뇨가 있는 환자는 수면 중에 수시로 잠을 깨고 쉽게 잠에 들지 못하므로 수면에 방해를 받아 낮에 졸립고 피곤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합니다.
3절박뇨 절박뇨는 소변을 보고자 하는 욕구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일단 느낌이 오면 참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시 소변을 보지 못하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하면 방광이 제멋대로 수축하여 소변이 찔끔거리는 절박성 요실금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4요실금 요실금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나와 옷을 적시는 현상으로, 환자에게 사회적 또는 위생적인 문제를 일으킵니다. (1) 복압성 요실금 가장 흔한 요실금으로 대개 분만 경험이 있는 중년 또는 노년의 여성에서 잘 생깁니다. 기침, 재채기, 줄넘기와 같이 복압이 증가되는 상황에서 본인도 모르게 소량의 소변을 배출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아이를 분만하면서 입은 손상이나 노화현상으로 질이나 골반의 지지 근육이 손상되거나 방광 경부의 기능부전으로 갑자기 복압이 상승될 때마다 소변이 새어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남성에게는 전립선 수술 후에 외괄약근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절박성 요실금 소변이 마려운 느낌이 생기자마자 참을 수 없이 본인도 모르게 소변이 새는 것으로, 특정한 광경, 소리, 흐르는 물과의 접촉, 자세 변화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방광에 심한 염증이 있을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복합성 요실금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동시에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절박뇨와 동반되면서 힘을 주거나 운동 중 또는 재채기와 기침을 할 때에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샙니다.
5
2. 배뇨 증상
1약뇨 소변줄기가 약하고 가늘어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과거의 상황이나 다른 사람과의 비교를 통해 소변줄기가 감소되었다고 표현합니다.
2분산뇨 소변줄기가 갈라지거나 흩뿌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3간헐뇨 소변을 볼 때 소변줄기가 한 번 이상 멈추었다가 시작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4요주저 배뇨를 시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배뇨 준비를 한 후 배뇨 시작 시까지 오래 기다려야 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5복압배뇨 배뇨를 시작한 후 유지하거나 소변줄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배의 근육을 이용하여 힘을 주어 소변을 보는 것을 말합니다.
3. 배뇨 후 증상
1잔뇨감 소변을 다 본 다음에도 방광을 깨끗하게 비운 것 같지 않고 불완전하게 배뇨를 했다고 느끼는 경우를 말합니다.
2배뇨 후 요점적 배뇨를 마친 직후, 남자는 변기를 떠난 후, 여자는 변기에서 일어난 후에 비자발적으로 나타나는 소변의 누출을 말합니다. 남성의 경우, 구부요도나 전립선 요도에 약간의 소변이 남아 있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남성
방광, 전립선, 요도 이상, 비뇨기계 종양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여성
방광, 요도 이상, 요실금, 비뇨기계 종양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진단
1검사실검사 소변화학검사, 균배양검사, 정밀세균검사, 세포검사 등을 시행하여 요로 감염 및 기타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2영상학적 검사 신장방광초음파검사(USG), 배설요로조영술(IVP), 전산화단층촬영(CT scan) 등의 검사를 활용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3기능검사 요속 검사를 통해 소변 배출 기능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며 방광 스캔 검사를 통해 잔뇨를 확인하여 방광 기능의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더욱 정밀한 확인을 위해 요역동학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